일반공지
외국산 장비 보안사고 예방 가이드 안내
작성자
보건대학원
작성일
2024-03-28
조회
540
외국산 장비 도입에 따른 보안사고 예방을 위한 가이드를 붙임과 같이 안내하오니 보안유지에 철저를 기해주시기 바랍니다.
(유지관리) 자체 보안검사 주기 단축 등 유지관리 강화
○ (수요기관 보안검사 강화)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악성코드* 조기 발견을 위해 수요기관 자체 보안검사 주기 단축 등 보안 강화 권고
* 악성코드 유형 : 바이러스, 웜(Worm), 스파이웨어, 트로이목마, 램섬웨어 등
< 악성코드 예시 >
구분 | 내 용 | 악성코드 |
예시1 | - 윈도우XP를 계속 복사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감염 발생 (appmgmts.dll, 3EA67189.sys 등) |
* 악성코드의 종류로 독립 실행 복제(○), 독립 실행(○) - 감염된 장비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상의 다른 시스템에 허가 없이 접속하고 무단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비인가 프로그램임 |
예시2 | - OO장비 제어 소프트웨어로 위장하고 있는 비인가 프로그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