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문학사, 1997
Univ. of Texas-Austin, 사회학, 석사, 1999
Univ. of Texas-Austin, 인구학, 박사, 2002
연구분야
인구현상과 미래사회
대한민국 인구의 개념 확대: 주민등록인구를 넘어 생활인구로
비즈니스 인구학
인구정책
연구실적
*저서
<정해진 미래> (북스톤, 2016)
<정해진 미래 시장의 기회> (북스톤, 2018)
<아이가 사라지는 세상> (공저, 김영사, 2019)
<2020~2040, 베트남의 정해진 미래> (북스톤, 2019)
<Việt Nam 2020 - 2040 dưới góc nhìn dân số học và kinh tế học>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2020)
<인구 미래 공존> (북스톤, 2021)
*논문
2022 임예진, 조영태. 2022. “혁신도시의 인구 효과 분석: 나주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45(2): 1~21.
2021 정명구, 고우림, 조영태. 2021. “벚꽃엔딩과 사학연금.” 『한국인구학』44(4): 75~96.
2020 김한나, 고우림, 임예진, 정명구, 조영태. “지방인구정책의 문제점과 대안” 『한국인구학』43(4): 115~138.
2020 고우림, 조영태, 차영재, 장대익. “한국 합계출산율의 결정 요인으로서의 인구밀도”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13(2): 129~153.
2020 고우림, 조영태, 정명구, 원성호. “국가 발전에 적합한 인구 특성: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13(1): 2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