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Vol.12 2012.12.26.

|
|
| |
|
|
| |
|
| |

|
|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역사관 건립 준비위원회 발족
|
|
보건대학원의 설립 50주년(2009년)과 관악 이전에 즈음하여, 보건학 분야 연구의 산실로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의 과거의 역사와 성취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미래를 조망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보건대학원에서는 보건대학원 역사관 설립을 추진하기로 하고 준비에 들어갔다. 당초 연건캠퍼스의 보건대학원 1층에 설립하고자 동창회와 모교 명예교수님들로부터 사료를 기증받은 바 있으나, 동문과 교수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연건캠퍼스 1층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설립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건대학원 역사관 건립 준비위원회를 2012년 11월 9일 구성하고 김호, 최경호, 유명순 교수를 위원으로 위촉하였다. 특히,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정혜욱 교수(애니메이션 전공)를 초빙하여 역사관 설립을 지원받기로 하였다. 역사관 사료를 기증하실 동문은 조교실 박예나 조교(전화 880-2741)에게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
|
|
환경보건학과-홍콩중화대학 보건대학원 직업환경보건학과 협력 논의
|

|
|
환경보건학과(학과장 이기영 교수)는 2012년 12월 14일 홍콩중화대학 보건대학원을 방문하여 상호 소개와 두 교육기관간의 교류를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환경보건학과 백도명, 조경덕, 최경호, 야마모토 나오미치 교수와 이기영 학과장은 오전 9시 30분부터 홍콩중화대학 직업환경보건학과(Division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소속 Ignatius Yu 학과장 등 9명의 교수 및 연구원들과 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최경호 교수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과 특히 환경보건학과 소속 아홉명의 교수들의 연구 관심과 강의 내용을 소개하였고, 야마모토 교수는 곰팡이류를 중심으로 한 최근의 연구 주제와 관심사에 대해서 발표하였다. 홍콩중화대학의 Linwei Tian 교수의 사회로 먼저 Ignitius Yu교수가 학과의 교수 연구활동과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Shelly Tse교수가 진행하고 있는 연구과 구체적인 연구성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참석한 교수들은 두 학과 사이의 연구 및 교육 분야의 협력이 가능한 분야가 많음을 확인하고 학과 차원의 교류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기로 합의하였다.
|
|
동창회 '2012년 송년의 밤' 행사
|

|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동창회는 2012년 12월 17일(월), 저녁 6시에 팜스팜스(남부터미널역 근처)에서‘2012년 정기총회 및 송년의 밤’행사를 개최했다. 최경호 총무이사의 사회로 진행된 정기총회에서는 올해 동창회 결산 심의보고와 동창회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정기총회를 마무리 한 후, 김민영 동창회장과 권순만 원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송년의 밤 행사를 시작하였고, 서울대 음대 성악팀의 축하공연이 이어졌다. 자랑스러운 동문상은 보건분야에서 이룩한 업적이 탁월한 동문들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올해 자랑스러운 동문상은 이성국(16회 졸), 김공현(17회 졸), 김종오(22회 졸), 추호경(23회 졸) 동문이 수상하였다. 이날 백남원 명예교수, 이선자 명예교수, 임재은 박사회회장, 박성배 고문, 신석우 고문 및 후학들을 위해 장학회를 운영하고 계신 박대근 고문, 박명윤 부회장께서 참여해주셔서 자리를 빛내주셨다. 많은 동문님들 덕분에 이날의 행사를 성황리에 마칠 수 있었으며, 언제나 동창회에 보내주시는 성원과 관심에 깊이 감사 인사를 드린다.
|
|

|
|
|
> 제 24대 학생자치회 마감 인터뷰
|
|
|
Q1. 24대 학생자치회의 활동이 끝났는데요, 소감이 어떤가요?
A: (회장 신지영) 저희 24대 학생자치회는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작은 행사에도 성원을 보내주시고 용기를 북돋아 주시는 보건대학원 구성원들 덕분에 끝까지 힘내어 달려올 수 있었습니다. 매 행사 때마다 잊지 않고 참여해주셨던 여러분들께 이 자리를 통해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중간자적 입장이 되어보니 학교에서 일하시는 많은 분들이 정말 학생들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몸소 느낄 수 있었습니다. 특히 행사 계획서를 제출할 때마다 긍정적으로 검토해주시고 아낌없는 조언을 해주신 원장님, 부원장님께 감사 드리고, 언제나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주신 행정신분들과 조교님들께도 감사 드립니다.
(부회장 김희연) 일 년 동안 학생회활동을 한 소감은 학생회를 통해 학생들을 위해서 일할 수 있다는 게 가장 보람이 있었습니다. 학생들의 학생들의 불편한 점과 건의사항을 듣고 전달하고 그것이 실제로 해결 되었을 때 가장 좋았습니다. 보건대학원 학생들이 화장실에 물건을 놓을 곳이 없어 불편함을 호소하였는데 그게 해결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또한 회장님의 주도하에 진행했었던 한 달에 한번씩 한 행사들은 학생들이 호응이 좋아서 즐거웠어요. 일 년 동안 학생회를 잘 리드해주었던 회장님께 너무 감사하고 좀 더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학생회에서 해주고 싶었는데 여러 가지 여건들 때문에 공략에 있던걸 지키지 못한 것이 아쉽습니다. 다음 선출된 학생회에서 이번 학생자치회에서 부족했던 점들을 잘 보완하여 활동해 줄 것이라고 생각해요.
(부회장 이은주) 학생들의 목소리 하나하나 귀 기울여 듣고, 모두가 함께 변화를 꿈꾼다는 것이 얼마나 뜻 깊고 소중한지 깊이 깨달을 수 있는 기회였어요. 학생회 활동을 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한 달에 한번씩 보건대학원 구성원이 한 식구가 되어 보건대학원 마당에서 조그마한 밥상을 나눌 수 있었던 것이요. 언제나 바쁜 일상으로 인해 소통의 힘이 약했던 보건대학원 구성원들이 올 한해는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이러한 결실을 얻기까지 물심양면으로 지지해주신 원장님 부원장님, 행정실 선생님들, 조교선생님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보건대학원 학생들의 지지가 가장 큰 힘이 되었어요. 연말이라 다소 경황이 없어서 학생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한 부분이 아쉽지만 차기 25대 학생회에서 더욱 활발한 활동을 하리라 기대합니다.
Q2. 학생자치회로 활동하면서 가장 보람되었던 순간과 가장 어려웠던 순간을 말씀해주세요.
A: (회장 신지영) 가장 보람되었던 순간은 학생들의 건의사항을 통해 학교가 점점 좋은 방향으로 바뀌어갔을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또한 바쁜 와중에도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함께 즐기는 학생들의 모습에서 힘들게 준비한 시간들을 보상받을 수 있었습니다. 가장 어려웠던 순간은 저희가 내세웠던 공약들이 현실적인 문제들로 난관에 부딪혔을 때였습니다. 공약을 세우기 전에 사전조사를 하고, 실천 가능한 사안들로 구성했어야 하는데 저희가 부족하게도 열정만 앞섰던 것 같습니다.
Q3. 25대 학생자치회에게 남기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요?
A: (회장 신지영) 학생자치회는 보건대학원 구성원들을 위해 존재하는 단체입니다. 개인적인 학교 생활도 바쁘게 이어지겠지만, 무엇보다 일상 속에서 다양한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학교와 학생들 간의 가교 역할을 잘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Q4. 2013년 신입생들에게 한마디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 (회장 신지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의 구성원이 되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으로의 대학원 생활이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 것인가는 여러분들에 달려 있습니다. 저희 학생자치회를 통해 여러 가지 소통의 장을 잘 활용하신다면 좋은 사람들과 많은 것을 나누고 배우실 수 있을 것입니다. 서로를 배려하며 즐거운 대학원 생활 하시기를 바랍니다.
|
|
|
> 발전기금 출연 내역 (11월- 12월)
|
이윤희(보건정책관리 08 수료), 1천만원
조경덕(환경보건학과 교수), 5백만원
이기영(환경보건학과 교수), 3백만원
윤충식(환경보건학과 교수), 1백만원
|
|
|
|
|

|
|
|
BK유전체역학사업팀, 제 7회 학술심포지엄
|
|
|

|
|
2012년 11월 22일(목),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BK 유전체역학연구사업팀이 주최한 제7회 학술심포지움에서는 참여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지난 7년간의 우수한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최영주 BK21 박사후연구원은 참여대학원생의 논문 및 학술실적 향상 등 유전체역학연구사업팀의 종합성과보고를 발표하였고, 우해동 박사(국립암센터)는 말초혈액에서의 글로벌 DNA 저메틸화와 메탈노출의 관계, 암발생 위험과의 관계에 대해 발표하였다. 보건영양학교실의 신상아 참여대학원생(박사과정)은 유전체 역학연구에서 활용가능한 식사조사방법에 관해 발표하였고, 생명정보학 연구실의 정성훈 참여대학원생(박사과정)은 Bioinformatics Methods for the Structure Analysis of Proteins 이란 주제로 발표하였다. 김기주 연구원(국립암센터)은 Directed Causal Network Construction Using Linkage Analysis라는 주제로 발표하였고, 이미경 박사(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는 Genetic association studies using NGS data 라는 주제로 발표하였다. 이번 학술심포지움은 BK사업기간동안에 우수한 인력으로 배출된 참여대학원생들의 성과를 볼 수 있는 자리가 되어, 지난 7년간의 BK 유전체역학연구사업이 훌륭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
|
Smart Technology & Public Health 세미나
|
|
2012년 12월 3일(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인구학연구실 Smart Technology & Public Health연구팀이 주최한 세미나는 「모바일 비즈니스 불변의 법칙」의 저자 Prof. Ludovico(International University of Japan)와 Industry에서 헬스관련 사업모형을 구상하고 계시는 강동석 상무님(삼성전자DMC연구소)의 강의 및 질의응답 시간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특별 세미나는 참석자들에게 Smart-Health분야에서의 UX Trends와 e-Health의 기본개념을 알게 해 준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
|
관악보건포럼, '공적보건의료 지출의 역할'
|
2012년 12월 3일(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이태진 교수님이 주최한 관악보건포럼은 도영경 교수님(Duke-NUS Graduate Medical School Singapore 소속) 께서 ‘보건의료부응도의 사회경제적 격차: 공적보건의료지출의 역할' 이라는 제목으로 강의해 주셨다. WHO World Health Survey Data를 분석해 본 결과, 공적 보건의료지출이 크고 보편적인 보건의료공급을 시행하는 나라일수록 보건의료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격차가 줄어들어 보건의료 부응도가 향상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이러한 관계는 저소득 국가에 비해 고소득 국가에서 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세미나를 통해 다소 생소했던 보건의료부응도라는 개념과 분석방법, 공적보건의료지출이 보건의료부응도에 미치는 영향등을 공부해 볼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
|
|
|
|
|
서울대학교-홋가이도대 제 15회 공동 심포지움 보건분야
|
|
|
|
2012년 12월 7일(금), 홋카이도대학교에서는 서울대학-홋카이도 대학교 공동심포지엄의 한 분과로 Public Health and Sustainability 심포지엄이 열렸다. 홋카이도대학교의 타마시로 교수님과 서울대학교의 김호,조영태 교수님의 강의 및 각 학생들의 연구발표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과 일본의 건강문제와 기후변화에 대한 고견을 듣고, 서로의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
|
|
|

|
|
|
교수동정
|
|
|
김호 교수
>2012.11.29-12.01: Aerosols in East Asia and Their Impacts on Plants and Human Health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Technology)에 참석 및 구두 발표, The Effects of Asian Dust Storms on Daily Mortality in Three Asian Cities (Seoul, Taipei, Kitakyushu)’
>2012.12.07: The 15th Seoul National University-Hokkaido University joint symposium에 참석 및 구두 발표, ‘Temperature-mortality associations in Asian cities (Climate Change and Health: Global Perspectives)’
| Publication List |
1) Sunduk Kim, Yong Seong Shina, Ho Kim, Haeoyong Pak and Jongsik Ha, “Impacts of typhoon and heavy rain disasters on mortality and infectious diarrhea hospitalization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in press
2) Jongsik Ha & Ho Kim, "Chang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ummer Temperature and Mortality in Seoul, South Korea ",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in press
3) Yun-Chul Hong, Se-Young Oh, Sung-Ok Kwon, Min-Seon Park, Ho Kim, Jong-Han Leem and Eun-Hee Ha, “Blood lead level mod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antioxidants and oxidative stress in an urban adult population” Brit J Nutrition, in press
4) Youn-Hee Lim et al. “Variation in mortality of ischemic and hemorrhagic strokes in relation to high temp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in press
5) K CHOI, S CHO, M HASHIZUME, H Kim,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vel Influenza A (H1N1) in Antiviral Drug Users in Korea” PLoS ONE 2012, 7(10):e47634. doi:10.1371/journal.pone.0047634
6) Hong YC, Kim H, Oh SY, Lim YH, Kim SY, Yoon HJ, Park M “Association of cold ambient temperature and cardiovascular marker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12 Oct 1;435-436:74-9.
7) Kim Y, Kim H, Shin SD, Hong YC. “Different influence of outdoor temperature on traumatic and non-traumatic injuries", The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2012 Oct;73(4):944-9.
조성일 교수
> 2012.11.12-17: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제5차 당사국총회 한국대표단으로 참가
> 2012.12.06: 한국역학회 학술위원장으로 추계학술대회 성료 (참가자 163명)
| Publication List |
1) Park EJ, Cho SI, Jang SN. Poor health in the Korean older population: age effect or adverse socioeconomic position. Arch Geron Geriat 2012:55:599-604.
2) Oh DH, Park JE, Lee ES, Oh SW, Cho SI, Jang SN, Baik HW. Intensive exercise reduces the fear of additional falls in elderly people: findings from the Korea Falls Prevention Study. Kor J Intern Med 2012:27:417-425.
조영태 교수
> 2012.11.21: KBS 건강정보프로그램 <비타민: 도시에서 장수하는 법> 출연
> 2012.12.07: The 15th Seoul National University-Hokkaido University joint symposium,
발표
권순만 교수
> 2012.11.23: WHO 초청으로 로마에서 열린 European Observatory on Health Systems and Policies회의에서 발표
> 2012.11.27: 베트남 보건경제학회에서 keynote 발표
김창엽 교수
> 2012.11.30: 보건복지연합학술대회 기조연설<건강정책에서 참여와 민주주의의 가능성> 및 <무상의료운동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건강레짐 운동의 가능성> 발제
> 매주 서리풀 논평 발표(시민건강증진연구소, 프레시안)
유승현 교수
> 2012.10.16: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세미나 발표, ‘지역사회 참여형연구의 이해와 적용’
> 2012.10.31: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이사회 참석
> 2012.11.06: 강원대학교병원 환경보건센터 세미나 발표, ‘지역사회 보건교육과 건강증진’
> 2012.11.12: 서울시 여성건강 자문회의 참석
> 2012.11.19: 서울시 관악구보건소 건강도시위원회 위원 위촉
> 2012.12.05: 지역사회간호학회 동계학술대회 주제발표, ‘지역사회 참여연구 방법과 실제’
> 2012.12.11: 서울시 서초구보건소 건강생활실천협의회 위원 위촉
조경덕 교수
> 2012.11.11-15: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ity and Chemistry (Long Beach, California, America)에 참석 및 구두 발표, ‘Effect of Natural Water Constitutes on the Photo-Decomposition of Methylmercury’
| Publication List |
1) Kim MK, Zoh KD. Fate and Transport of Mercury in Environmental Media and Human Exposure, 2012, J Prev Med Public Health, Vol. 45, Vol. 6, pp. 335-343.
2) Nam SW, Jo BI, Kim MK, Kim WK, Zoh KD. Streaming Current Titration for Coagulation of High Turbidity Water, 2013,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In press.
3) Im JK, Kim MK, Zoh KD. Optimization of Photolysis of Diclofenac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2013, Water Science & Technology, In press.
4) Im JK, Zoh KD.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 to carbamazepine removal in photo-ozonation reaction under alkaline condition, 2013, Water Science & Technology, Vol. 67, No. 1, pp. 74-81.
Naomichi Yamamoto 교수
| Publication List |
1) Dannemiller, K., Reeves, D., Bibby, K., Yamamoto, N., Peccia, J.* (201x). Fungal High-throughput Taxonomic Identification tool for use with Next-Generation Sequencing (FHiTINGS), Journal of Basic Microbiology, accepted.
2) Shendell, D.G.*, Mizan, S., Yamamoto, N., Peccia, J. (2012). Associations between quantitative measures of fungi in home floor dust and lung function among older adul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A pilot study, Journal of Asthma 49, (5) 502-509.
3) Hospodsky, D., Qian, J., Nazaroff, W.W., Yamamoto, N., Rismani-Yazdi, H., Bibby, K., Peccia, J.* (2012). Human occupancy as a source of indoor airborne bacteria, PLoS ONE 7, (4) e34867.
4) Lang-Yona, N., Dannemiller, K., Yamamoto, N., Burshtein, N., Peccia, J., Yarden, O., Rudich, Y.* (2012). Annual distribution of allergenic fungal spores in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ergosterol and quantitative PCR analysi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2, 2681-2690.
5) Yamamoto, N., Bibby, K., Qian, J., Hospodsky, D., Rismani-Yazdi, H., Nazaroff, W.W., Peccia, J.* (2012). Particle-size distributions and seasonal diversity of allergenic and pathogenic fungi in outdoor air, The ISME Journal 6, (10) 1801-1811.
6) Qian, J., Hospodsky, D., Yamamoto, N., Nazaroff, W.W., Peccia, J.* (2012). Size-resolved emission rate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an occupied classroom, Indoor Air 22, (4) 339-351.
7) Shendell, D.G.*, Therkorn, J., Yamamoto, N., Kelly, S.W., Foster, C. (2012). Outdoor near-roadway, community and residential pollen, carbon dioxide and particulate matter measurements in the urban core of an agricultural region in central CA, Atmospheric Environment 50, 103-111.
|
연구실동정
|
|
보건통계(Ⅱ)연구실
> 연구실 주간 회의 예정(매주 화요일 오전 10:00)
> 2012.12.21: 보건통계학연구실(II) 전체회식
> 한국연구재단 미주국가와 과학기술협력확충 사업 과제 선정
- 총연구기간: 2012년 12월 1일~2015년 11월 30일
- 연구과제명: 기후변화에 의한 건강영향 평가: 아시아와 미국의 비교 및 통합모형 제시
만성병역학연구실
> 2012.12.17: 김은아, 양혜정,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분석워크샵’ 참석
> 2012.12.31: 질병관리본부 연구과제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의 선택조사 지표와 문항, 보건지표 운행 개발을 위한 연구"(연구책임자 조성일) 최종보고서 제출
유전체역학연구실
> 2012.11.06-10: American Society of Human Genetics 참여 (San Francisco, USA) 포스터 발표
- 고민정: Genetic Variants Explaining Sodium Intake in a Population with Higher Sodium Intake Level: The Healthy Twin Study, Korea.
- 김우리: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identifies a novel susceptible locus for refractive error at 19q13.12 in Korean.
- 이수지: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n Hallux Valgus Angle (HVA) identifies candidate loci: The Healthy Twin Study Korea.
> 2012.12.07: Basic Genetic Analyses Workshop 개최 (보건대학원)
> 매주 수요일, 토요일: 차세대맞춤의료사업단 생물정보분석 연수교육 참여 (숙명여대)
> 매주 수요일 10-12시: 유전체역학연구실 세미나 (보건대학원)
보건인구학연구실
> Smart Health Seminar(매주 월요일 오후 1:00)
> 연구실 주간 회의 예정(매주 월요일 오후 2:00)
> 2012.11.21: 보건인구학연구실 전체회식
> 2012.12.03: 개최
> 2012.12.13: 조영태, 라채린, 강초록, 신상수, 김가은, '이주자감염병관리를 위한 기초연구 및 지원방안 연구' 연구용역보고서
> 2012.12.14: 심은영(박사과정), 제3회 여성가족패널 학술대회 발표
보건정책학연구실
> 건강정의 세미나: 11/1, 11/8, 11/15, 11/22, 12/6, 12/13 총 6회 실시
> PDP 세미나: 11/6, 11/13, 11/20, 11/29, 12/11 총 5회 실시
> HERG 세미나: 11/7, 11/21, 11/28, 12/5 총 4회 실시
> 매주 월요일 11시 연구실 주간 회의
지역사회건강증진연구실
> 유승현, 조원섭, 한윤정. 2012년 경기도 외국인 여성결혼이민자 건강검진 결과보고
> 유승현, 전예원, 심소령. 정기건강검진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관련 건강증진효과 결과보고
환경화학모니터링연구실
> 한국연구재단 미주국가와 과학기술협력확충 사업 과제 선정
- 총연구기간: 2012년 12월 1일~2015년 11월 30일
- 연구과제명: 최신 미량유해물질의 수체 내 거동 및 최적 처리 연구
> 2012.11.11-15: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ity and Chemistry (Long Beach, California, America)에 참석 및 발표
- 강영민: Photodegradation kinetics and Mechanism of Bisphenol-A in water.
- 김문경: Effect of Natural Water Constituents on the Photo-Decomposition of Methylmercury.
- 김문경: Effect Organic Matters on the Abiotic Photo-production of Methylmercury in Water.
- 남승우: Occurrence and Removal Mechanism of Pharmaceuticals, Pesticides and EDCs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환경독성학연구실
> 논문발표
- Ji K, Kim S, Kho Y, Sakong J, Paek D, Choi K. Major perfluoroalkyl acid (PFAA) concentrations and influence of food consumption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of Daegu, Kore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12, 438, 42-48 (2012.11)
- Lee G, Lee S, Ji K, Kim P, Recent trend of ecotoxicological research on combined exposure to pharmaceutical residues in water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2, 49(2), 78-87 (2012.10)
> 학회발표
- Ji K, Liu X, Lee SW, Kang SE, JP Giesy, Choi K, Effect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on hormone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in hypothalamic-pituitary-gonad axis of zebrafish, SETAC, 2012.11.11-15.
- Liu X, Ji K, Choi K, Effects of TDCPP and TPP on reproduction and hypothalamus-pituitary-gonad axis in adult zebrafish (Danio rerio), SETAC, 2012.11.11-15.
- Lee SW, Choi K, Comparison of genotoxic potential and related mechanisms of various bisphenols using DNA-repair-deficient chicken DT40 cell lines, SETAC. 2012.11.11-15,
- Jung H, Kang SE, Kim S, Ji K, Choi K, Endocrine disruption effect of chronic exposure to mefenamic acid on aquatic organisms Daphnia magna, Moina macrocopa and Danio rerio, SETAC, 2012.11.11-15.
- Jo A, Ji K, Ahn B, Choi K, Effects of chronic exposure to perfluorodecanoic acid and perfluorotridecanoic acid in Daphnia magna and Zebrafish and endocrine disruption potential. SETAC, 2012.11.11-15
- Lee SR, Kim C, Liu X, Kho U, Kim P, Choi K, Chronic toxicity of amoxicillin, neomycin, and tylosin and their potential ecological risks in water, SETAC, 2012.11.11-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