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신입생 여러분 환영합니다 *

| |
|
|
|
|
- 연구실 세미나: 겨울방학 연구실 세미나 중 1차로 [프로그램 평가] 세미나를 1월 중 마치고 현재 [연구설계]
세미나를 진행 중이다.
- 양천구와 건강도시 MOU 체결: 1월 17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과 서울시 양천구 간 건강도시사업 MOU가
체결되었다.백도명 원장님, 유승현 교수가 체결식에 참석하였다
|
|
|
|
|
|
|
|
|
|
|
보건경제연구실 |
|
|
|
|
- 2011년 1월부터, 매주 목요일 11~1시, 교수님과 함께 research meeting을 하고 있다. 연구실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외에, 각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주제를 함께 공유하고,discussion하는 자리로서
열정을 가진 석.박사 학생들이 모여 뜻 깊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
|
|
|
보건미생물학연구실 |
| |
|
|
- 학회 참석: 2011년 02월 9,10,11일 용평에서 열린 ‘유전체학회(KOGO)’에 참석하였다.
- 세미나 및 랩미팅 진행: 보건미생물학 연구실은 매주 월요일 10시에 지도 교수님과 논문 리뷰 세미나 및
랩미팅을 진행 하고 있다. 개강하는 3월부터 격주 금요일 오전 10시로 시간 변경 계획이 있다.
| | |
|
|
|
|
|
|
보건영양연구실 |
|
|
|
|
- 연구실 박사 졸업생 위경애 선생님이 2010년 World Public Health Nutrition Congress 에서
Research Excellence Awards(DSM awards)를 수상하였고, 상금 100USD를 받았다. Poster 제목은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Cancers from Cancer Screening Examination Cohort in Korea>이다.
|
|
|
|
보건인구학연구실 |
|
|
|
|
- 1월 15일-16일 춘천으로 인구방 동계MT, 동계스포츠와 친목다짐
- 2월 25일, 김상미 석사과정생 졸업
| |
|
|
보건의료조직관리연구실 |
|
|
|
|
- 연구: 2011년 1월부터 보건복지부 발주 연구 과제 [공공의료서비스 수행 기관의 조직 책무성
강화 방안]진행
- 세미나: 김수진(박사과정) 외 7인과 Scott 등이 펴낸 Institutional Changes and Healthcare Organizations (2000)
세미나 지도
- 기타 동향: 2011년도 간호행정학회 논문 심사위원 위촉
|
|
|
|
보건정치경제연구실 |
|
|
|
|
- 방학세미나: 매주 화요일 7시~9시, 320호에서 진행
서명(Getting Health Reform Right; A Guide to Improving Performance and Equity),
저자( Roberts, M., W. Hsiao, P. Berman, and M. Rei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진행방식(지정된 발제자가 한 chapter별로 발제 한 후 그룹 토의)
- 저널세미나: 격주 목요일 오후2시~4시, 320호에서 진행
주제:보건정치경제연구(발제자 2인 + 토론자 2인)
진행방식(- 2명의 발제자가 유사한 주제의 논문을 각 1편 씩 선정하여 발제)
(- 지정된 토론자가 발제 논문에 대한 토론 진행)
- 보건정치경제연구실 MT
일시:1월 28일~29일 가평의 한 펜션
참석인원 : 교수님 외 25명
학교에서의 딱딱한 분위기가 아닌, 오랜만에 일상을 떠나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가 함께 간 MT~맛있는 고기와
와인, 즐거운 게임들로 시간가는 줄 모르게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 |
|
|
| | | |
|
보건정책연구실 |
|
|
|
|
- 세미나 진행: 방학 중 Making Health Policy(Kent Buse et al., 2005)을 교재로 주 1회 세미나를 진행함.
- 행사 소식: 1) 2월 8일 논문주제토론회 개최
2) 2월 24일 3차 KOICA 보건의료 ODA포럼 개최
| |
|
|
| | | |
|
보건통계학연구실 |
|
|
|
|
- 제2회 글로벌 연구실 (GRL) 사업단 심포지움
1. 학술회의명 : 제2회 나노과학기술 글로벌연구실 사업단 심포지움 (GRL-NT Symposium)
2. 일시 : 2011년 2월 22일 (화) 09:00-18:00
3. 장소 : 리츠칼튼호텔 그랜드 볼룸 (서울 강남구 논현동)
- 출판확정 연구논문
(In press) Jongsik Ha, Ho Kim, Shakoor Hajat, “Effect of Previous-Winter Morta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ummer Temperature and Mortality in South Korea” Environmental Health Presepctives.
(In press) Youn-Hee Lim, Ae Kyung Park, Ho Kim "Modifiers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and Mortality
Association in Six Korean C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In press) Inyoung Kim, Hae-Kwan Cheong, and Ho Kim “Semiparametric Regression Splines Models for Detecting
Effect Modification in Matched Case-Crossover Studies”, Statistics in Medicine.
(in press) Yoonhee Kim, Ho Kim, Dong-Sik Kim, “Association between daily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suicide
mortality in Korea (2001~2005)”, Psychiatry Research
- 보건통계학연구실 박사과정 김명희 학생 결혼(2011.02.20)
| |
| |
분자역학교실 |
|
|
|
|
- 2011년 2월 졸업생 : 최연주 (석사)
- 매주 월요일, 목요일에 오후 4시(221동 201호) 논문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2) 2월 24일 3차 KOICA 보건의료 ODA포럼 개최
|
|
|
|
산업보건연구실 |
|
|
|
|
- 2011, 신묘년(辛卯年), 산업환경보건연구실 동계 워크샵과 지리산 산행, 그 힘찬 출발!
|
|
|
|

|
|
|
|
|
|
2박
3일의
지리산
종주의
시작인
성삼재에서
삼도봉에서
잠시
한
컷
지난 1월 12일, 3박 4일간 지리산 종주를 통해 윤충식 교수님의 비롯한 산업환경보건연구실가족은 모두 하나가 되었다. 영하 26도의 극한의 추위와 더불어 자신과의 싸움을 이겨내며 협동과 단결을 배울 수 있었던 지리산 산행, 2011년의 시작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첫날 지리산가족호텔에서의 워크샵을 통해 “미래 산업보건의 주역” 으로서 비젼을 공유하였으며 우리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둘째날부터 시작된 지리산 종주는 [성산재-삼도봉-연하천대피소-장터목대피소-천왕봉-백무동]의 코스로 진행되었으며 해발 1,916m의 천왕봉에서 “산업보건 화이팅!”를 외쳤던 그 순간은 잊을 수가 없을 것이다.지리산에서의 인내와 용기를 바탕 으로 2011년, 신묘년, 산업환경보건연구실의 구성원 모두가 알차고 보람된 한 해를 보내도록 소망해 본다.
|
- 산업보건의
과거와
미래,
2011
한국산업위생학회
동계
학술대회
및
20주년
행사!
|
2011년 2월 10~11일 부산에서 2011 한국산업위생학회 동계 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우리 산업환경보건연구실
가족은 다양한 주제와 심도 깊은 내용의 발표(구연 5명, 포스터 4명)를 하였으며 격려와 지적과 함께 학문적
으로 한층 더 성숙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국 곳곳의 학교와 기업, 정부기관에서 땀을 흘리며 노력하는 산업보건
인재들의 연구 성과에 대한 공유를 통해 산업위생학회가 그 어느 학회보다 발전하는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
:
구두발표 1.황규석, Residenti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reduced pulmonary function in children
2.강태선, 아파트 건설 근로자의 직종별 소음 노출평가
3.황성호, 미생물 취급 실험실에서의 생물안전 수준과 생물안전 등급에 따른 부유진균 농도
4.함승헌, 나노입자 노출평가를 위한 측정기기의 비교분석
5.이임규, 소방공무원의 일상생활 소음 노출 수준
|

|
:
포스터발표
1.김정현, 자동차 검사소 근로자의 소음노출에 대한 연구
2.박지훈, 안산지역 일부 초등학교 인근 PC방 내 PM2.5 농도수준의 평가
3.박동진, 일부 시설재배 작업자의 로터리 작업 시 미생물 노출에 관한 연구
이번 학술대회는 산업위생학회의 2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이벤트가 진행되어 관심을 끌었다. 한국산업위생
학회 20주년사 출판위원장을 맡으신 윤충식 교수님과 "산업보건 20년"을 준비하며 후배로써 선배님들의 과거
발자취와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동안의 수많은 역경을 이겨낸 현재의 산업위생학회를 되새기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무엇보다도 이번 학회는 대한민국 산업보건분야의 교수님, 선배, 후배가 근로자를 위한 "산업
보건"으로 하나가 되는 뜻깊은 자리였다. 현재까지 선배들께서 이끌어오신 산업보건, 이제는 우리가 뒤를 이어
발전시켜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앞으로 대한민국의 산업보건의 무궁한 발전이 있기를 기원해본다.대한민국
산업보건을 위해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산업환경보건연구실 화이팅!"
|
실내환경 및 노출평가연구실
|
| |
|
|
- "도서관 및 독서실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서비스"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3박 4일 동안 석사과정 3명의 학생
이 홍콩 IAQ center와 도서관 및 친환경 인증 건물 등을 방문하였다다
|
|
|
유전체역학교실
|
| |
- 1월 27-28일, 분석방법 워크샵1 (SAS, Python)
- 2월 25일, 분석방법 워크샵2 (유전체자료 분석 프로그램)
|
|
|
직업환경건강연구실 |
|
|
- 정기 세미나: 주교재 : Fertility and Pregnancy :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 일시 및 장소: 매주 화요일 오전 9시. 220동 727호 세미나실
|
| |
|
|
|
|
|
|
|
|
|
|
|
|
|
|
|
|
|
|
|
|
|